All has reached perfection, and becoming a true person is the greatest perfection of all. It takes more to make one sage today than it did to make the seven of Greece. And you need more resourcese to deal with a single person these days than with an entire nation in times past.
요즘은 성공하기 위해서 급변하는 세상에서 다재다능해야 합니다. 10년전부터 전문가형보다는 T자형 인간, 자기 분야에는 전문가이되 다 분야에서도 일반 상식정도는 두루두루 갖추고 다른 분야와 응용도 할 줄 알아야 하고, 이빨 빠진 분야가 없어야 성공을 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여기서 지도사로서의 소양을 이야기 하는데 과거보다 한 사람을 다루는데 더 많은 자원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관리자나 책임자로서의 경험은 그리 많지 않으나 주위를 둘러 보면 정말 또라이가 많은 것 같습니다. 오히려 멀쩡한 사람을 찾기 어려운 것 같습니다. 누구니 완벽하기 어렵고 요즘은 더 많은 것을 요구하고 또 자신의 특이한 기질을 표출하기 쉬운 세상인 것 같습니다.
한 구절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It takes more // to make one sage today // than it did to make the seven of Greece
1. It takes more It은 의미없는 형식상의 주어입니다. take 시간이나 노력이나 그러한 따위가 더 들어간다 more 더 많이
2. to make one sage today : to make 는 make(만들다)라는 동사를 동사 위치가 아니거나 명사나 꾸며주는 말로 쓰일때 "To + 동사" 형식으로 쓰이고 one sage 한 명의 현자 a sage라고 해도 되는데 하나를 강조하기 위해 one을 썼네요.
3. than it did to make the seven of Greece는 원래 it took to make the seven sage of Greece인데 영어는 반복을 싫어하며 대명사나 대동사로 받습니다. 그래서 took(take 과거) 대신 did를 쓰고 the seven으로 표현하며 sage를 생략했습니다.
4. It takes more A than B : B보다 A가 더 걸린다.
지금은 교통이 혼잡해서 집까지 걸어 가는게 나아
영작) It takes more to go home by car than to walk because of a traffic jam this time.
대충 요런 식으로 요긴하게 쓰이는 문구입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 영역